Left Menu

학술갤러리

Home > 주요 활동 > 학술갤러리
학술갤러리

알기 쉬운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일의 유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구소 작성일17-12-27 11:34 조회235회 댓글0건

본문

a5b50e00608676e74c63383129c9413c_1546490 

 

광주학생독립운동은 1929년 11월부터 1930년 3월까지 5개월간 한국에서 일어난 학생독립운동이다. 이 사건은 1929년 10월 나주역에서 일어난 일본중학생의 한국인 여학생 희롱을 둘러싼 한일중학생간 다툼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나기 전에 이 사건이 조직적인 대응으로 전개된 것은 1926년 이후 1929년 사이에 여러 차례 조직되었던 항일학생결사 등에 영향을 받았다. 한국 학생과 일본 학생 간 충돌과 11월 12일 광주지역 학생 대시위운동을 거쳐, 한편으로는 호남지역 일대로 확산되고, 다른 한편으로 서울을 거쳐서 전국 가지로 확산된 항일운동으로 1929년 11월 말에서 1930년 3월이나 5월까지 전국적으로 확산된 학생독립운동을 말한다.

 

12월에는 경성과 평양, 함경도 등지와 같은 국내 지역과 만주벌에 위치한 간도 등으로 확산되었고, 1930년 5월까지 전국적인 동맹휴학, 학생 항일 시위로 확대, 발전하면서 거족적 민족해방운동이 되었다.

 

학생의 날은 해방 직후 서울에서 독립운동가들이 모여 일제시대 항일운동에 기여했던 학생들의 독립운동을 기념하는 의미로 11월 3일을 학생의날로 정한데서 비롯되었으며, 제1공화국 정부 수립후 국회에서 이를 국가기념일로 승격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당시 11월달에는 광주학생운동과 더불어 11월 말 신의주 반공의거 기념일을 별도로 제정하려는 움직임도 있었다.

 

1953년 10월 국회 본회의가 시작되자 윤택중의원은 학생의 날 제정취지를 발표하고 이를 국가적 차원의 기념일로 하자고 제안했다. 이후 기념일 명칭을 둘러싸고 학생항일운동기념일, 학생의 날 등의 이름표기를 놓고 짧은 토론이 진행된 후 신익희 국회의장이 회의 안건을 표결해 부치면서 만장일치로 학생의 날이 가결되었다.

이후 이승만정부 이후 학생의 날이 광주학생독립운동을 포함한 일제하 학생들의 항일정신을 기리는 기념일의 위상을 갖게 되었다. 이후 학생의 날은 이승만대통령, 윤보선대통령, 박정희 대통령이 참여할 정도로 국가기념일의 위상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1972년 말 유신체제가 설립되고, 1973년 정부가 53개 정부기념일을 26개로 간소화하는 과정에서 학생의 날도 폐지되는 굴곡을 겪었다. 그후 1984년 11월 학생의 날이 부활했으나 전두환 정부는 학생의 날을 맞아 학생들의 시위를 염려하여 이를 통제하기도 했다.

1980년대 말까지도 학생의 날은 예전의 위상을 회복하지 못했고, 2006년에는 11월 3일을 “학생독립운동기념일”로 정하여 기념하고 있다. 1929년 발생한 광주학생독립운동은 1919년 3·1 운동 이후 국내 최대규모의 대중적 항일 운동으로 꼽힌다. 광주학생운동은 무엇보다 3.1운동 10주년을 맞아 항일의 기세를 높이고자 했던 한국인들이 그해 연말과 그 이듬해인 1930년 초까지 민족의 독립의지를 천명한 사건이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3호관 306호
TEL : 062-530-0610 | FAX : 062-530-0615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 2016 전남대학교 광주학생독립운동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