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항
01. 원고는 A4 크기 용지에 국문 또는 영문으로 작성한다. 국문원고는 한글에서 신명조로 작성하고, 영문원고의 경우에는 MS word에서 Times New Romans체로 작성한다. 원고의 여백 주기는 위쪽 30mm, 아래쪽 25mm, 왼쪽 25mm, 오른쪽 25mm로 주며, 글자크기는 10포인트, 줄간격은 200%로 작성한다.
02. 원고의 구성은 겉표지 부분과 본문 부분으로 나누어 작성한다.
(1) 겉표지는 다음의 순서로 기재한다.
가. 제목은 한글로 기술하고, running head를 간략히 기술한다.
나. 제 1저자와 교신저자 및 공동저자를 구분하여 표기한다. 첫 번째 표기되는 저자가 제 1저자이며, 공동저자는 그 다음에 표기한다.
다. 전체 저자의 국문 및 영문 성명, 소속, 직위를 기재한다.
라. 교신저자의 성명, 소속, 직위, 직장주소, 우편번호, 전화번호, Fax번호, E-mail 주소 등을 표기한다.
마. 연구비 지원, 그 외 이해관계(conflict of interest)에 대하여 한글과 영문으로 기재한다.
바. 논문의 종류를 종설, 양적연구, 질적연구, 개념분석, Q방법론적 연구, 메타분석 등으로 구분하여 한글로 기재한다.
사. 참고문헌의 수는 30개 이내로 기재하되, 학위논문의 인용은 3개 이하로 제한한다.
아. 영문초록의 단어 수(250단어 이내)를 기재한다.
03. 본문은 다음의 순서로 기재하며, 영문초록 본문, 참고문헌, 표 혹은 그림의 순으로 하고, 각각은 별도의 페이지로 한다.
04. 학술용어는 한국간호과학회 발행 간호학 표준용어집 및 대한의사협회 발행 의학용어집에 수록된 것을 준용한다. 약어사용 시, 영문약자를 사용할 때는 처음 사용할 때에 단어 전체를 표기하고 괄호 안에 약어를 제시한다. 단, 논문제목에는 약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유의확률을 나타내는 p는 이탤릭체 소문자로 쓴다.
05. 표준약어와 단위는 Th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LM) Style Guide for Authors, Editors, and Publishers. 2nd ed.(2007)을 참고로 사용한다.
06. 괄호( )를 사용할 때의 띄어쓰기는 괄호( )앞에 국문이 올 때는 붙여서 쓰고, 영문이나 숫자가 올 때는 띄어 쓴다. 괄호 다음에 오는 조사는 붙여서 쓴다.
07. 논문에서 사용하는 연구도구는 도구 개발자의 승인을 받아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08. 기계 및 장비의 경우 괄호( ) 안에 모델명, 제조회사, 도시(주), 국적을 쓴다. 상품명을 뜻하는 TM, ®등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쓰지 않는다.
09. 원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조직한다(제목, 영문초록, 서론(문헌고찰 혹은 이론적 배경은 꼭 필요시),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질적연구의 경우는 그 조직을 달리할 수 있다.
(1) 서론: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간결하고, 명료하게 제시하며 배경에 관한 기술은 목적과 연관이 있는 내용만을 포함한다.
(2) 연구방법: 연구설계, 연구대상, 연구도구, 자료수집, 윤리적 고려 및 자료분석 등을 순서대로 소제목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연구방법은 구체적이면서도 자세히 기술하여 재현이 가능하도록 하되,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방법인 경우에는 참고문헌만을 제시하며, 새로운 방법이거나 기존의 방법을 변형한 경우에는 상세히 기술한다.
(3) 연구결과: 처리된 결과를 중심으로 명료하고 논리적으로 기술하며 도표에 있는 모든 자료를 본문에서 중복하여 나열하지 말고 중요한 결과만 요약하여 적는다.
(4) 논의: 연구결과에서 중요하거나 새로운 소견을 강조하고 서론과 결과에서 언급된 것을 중복하여 기술하지 않는다.
(5) 결론 및 제언: 연구목적과 연관하여 최종 결론만을 간략히 기술하며 연구방법이나 결과 등을 반복 기술하지 않는다.
10. 표 및 그림 등은 5개 이내로 별도의 페이지에 각각 작성하고, 표와 그림의 내용이 중복되지 않도록 하며, 원고의 본문에 표와 그림번호가 기술되어야 한다.
(1) 표, 그림, 사진의 제목과 내용은 영문으로 표기한다. 단, 질적 연구의 경우, 저자의 판단에 의해 의미전달이 불가능한 경우 국문으로 표기한다.
(2) 표 및 그림은 출판규격 내의 A4 용지 크기 이하(가로 140mmⅹ세로 200mm)로 하여 흑색으로 선명하게 그리며, 설명은 별도로 작성한다. 모든 선은 단선(single line)으로 하되 도표의 종선(세로줄)은 긋지 않는다.
(3) 표 제목은 표의 상단에 위치하며, 중요한 단어의 첫 자를 대문자로 한다(예: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4) 표는 본문에서 인용되는 순서대로 번호를 붙이며, 설명이 필요한 경우 각주를 달아 표의 하단에서 설명한다(예: 1HF = heart failure).
(5) 소수점은 그 숫자값이 1을 넘을 수 있는 경우에는 소수점 앞에 ‘0’을 기입하고, ‘1’을 넘을 수 없는 경우에는 소수점 앞에 ‘0’을 기입하지 않는다(예: t = 0.26, p < .001).
(6) 유의확률을 나타내는 p값은 각주 없이 값을 그대로 기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기재한다(예: p = .003). 단, p값의 소수점 이하 3자리가 .000으로 나올 경우에는 p < .001로 기술한다.
(7) 백분율(%)은 소수점 한자리까지 기술하고, t, F, x2, r 등의 모든 통계량은 소수점 두 자리까지 기술한다.
(8) 그림의 제목은 그림의 하단에 위치하며, 첫 자만 대문자로 한다(예: Figure 1. Prevalence of cognitive impairment among older adults).
11. 문헌의 인용은 다음을 참고로 하여 모두 영문으로 표기한다. 다음 사항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Citing Medicine: Th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LM) Style Guide for Authors, Editors, and Publishers 제2판(2007)을 참고한다.
(1) 본문 내에서 다른 저자가 같은 내용에서 인용될 때는 인용 순서에 따라 번호를 붙인다.
예: 환자의 인지기능[1], 신체적 기능[2,3], 사회적지지[4-6]
(2) 본문에 문헌을 인용한 경우 문헌인용 순서에 따라 숫자를 대괄호[ ]로 표시한다. 한 참고문헌이 본문에서 계속 인용될 경우 같은 번호를 사용한다.
12. 본문에 인용된 문헌은 반드시 참고문헌 목록에 포함되어야 한다. 참고문헌은 30개 이내로 하고 본문번호 순서에 따라 나열한다.
13. 참고문헌은 Citing Medicine: Th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LM) Style Guide for Authors, Editors, and Publishers 제2판(2007)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모두 영어로 표기한다. 학술지인 경우는 단어마다 첫 자를 대문자로 표기하고 전체 학술지명을 쓴다.
14. 저자가 7인 이상일 때에는 6명까지 모두 기입하고 나머지는 et al.로 표기한다.
예: John PW, Alexandra PB, Max KB, Peter JL, Peter F, Miler CW, et al.
15. 디지털 학술정보의 용이한 활용과 인용 활성화, 검색의 효율성 도모를 위해 DOI (Digital Object Identifier)를 서지사항 마지막 부분에 기재한다. http://www.crossref.org 에서 DOI번호로 문헌을 검색할 수 있다.
16. 영문명이 명확하지 않은 학술지는 인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 정기간행물
가. 학술지
저자명. 논문명. 학술지명. 연도;권(호):시작페이지-마지막 페이지. DOI 순으로 기재한다.
예: 저자가 6인 이하인 경우
예: 저자가 7인 이상인 경우
나. 출판 중인 학술지의 논문
저자명. 논문명. 학술지명. Forthcoming. 지면 출간예정 연월일. 순으로 기재한다.
예: 지면 출간일을 아는 경우
예: 지면 출간일을 모르는 경우
다. 잡지기사
저자. 잡지기사명. 잡지명. 연도 날짜:페이지. 순으로 기재한다.
예: 1. Rutan C. Creating healthy habits in children. Parish Nurse Newsletter. 2012 May 15:5-6
라. 신문기사
기자. 기사명. 신문명. 연도날짜;Sect. 란. 순으로 기재한다.
예: 1. Cho C-u. Stem cell windpipe gives Korean toddler new life. The Korea Herald. 2013 May 2;Sect. 01.
(2) 저서
가. 단행본
저자. 서명. 판차사항. 출판지: 출판사; 연도. p. 페이지. 순으로 기재한다.
나. 단행본 내의 한 장(chapter)
장(chapter) 저자. 장(chapter) 제목. In: 편저자, editor(s). 서명. 판차사항. 출판지: 출판사; 연도. p. 페이지. 순으로 기재한다.
다. 편집된 책
편저자, editor(s). 서명. 출판지: 출판사;연도. 순으로 기재한다.
라. 저자나 편집자명이 없는 경우
서명. 판차사항. 출판지: 출판사; 연도. 순으로 기재한다.
마. 번역서
원저자. 번역서명. 판차사항. 역자. 출판지: 출판사; 연도. 페이지 순으로 기재한다.
바. 백과사전이나 사전
(편)저자. 사전명. 판차사항. 출판지: 출판사;연도. 순으로 기재한다. (편저자의 경우 기재 방식에 유의해서 작성)
(3) 연구보고서
저자. 보고서 제목. 보고서 유형. 출판지: 기관(대학);출판일. 보고서 번호. 순으로 기재한다.
(4) 학위논문
(6) 학술회의나 심포지엄 자료 (Proceedings)
가. 미출간된 학술대회 자료
나. 포스터 발표자료(Poster Session)
(7) 홈페이지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