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연구영역 및 기능

Home > 연구소 소개 > 설립목적 > 연구영역 및 기능

사진 동아시아 근현대 청년문화연구

일제강점기 동아시아 청년문화연구는 아시아지역에서 어떻게 근대적 청년지식문화가 생성, 변천해 왔는지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19세기 후반 명치유신시대 이후 일본의 청년문화, 19세기 후반 청조말기의 중국의 청년문화, 구한말 조선왕조에서의 청년문화의 발전양상을 통해 근대적 교육과 청년문화의 정립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동아시아의 근대적 민권운동의 발상지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지역의 교육문화적 근대체제의 형성과정을 조명함으로써 19세기 이후 20세기 초반 동아시아지역에 나타난 근대교육기관과 학교운동, 그리고 청년을 중심으로 한 계몽운동 및 민권운동의 전개양상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사진 동아시아지역의 학생독립운동 연구

아시아 학생운동은 수많은 사회운동의 형태로 발전했다. 동아시아의 각국은 19세기말 유럽열강에 의해 식민지적 침탈을 경험하면서도 자발적으로 근대적인 자각과 자립의지를 촉진시켜왔다. 일본은 이후 서구열강을 본받아 침략주의로 전환되지만 청조와 조선왕조는 쇠망의 길로 접어든다. 아시아 전역의 학생운동은 유럽의 선진 문물을 수용하면서도 독자적이고 자립적인 민족의식을 통해 새로운 근대적 자각을 촉진하는 운동으로 발전해왔다. 조선에서는 1890년대 후반 독립협회의 창설 이후 수많은 학생운동이 전개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도 조선의 독립을 위해 간도에 신흥학교를 비롯해 해외와 국내의 수많은 학교를 거점으로 하는 독립운동이 요원의 불꽃처럼 전개되었다. 1911년 중국의 신해혁명을 계기로 아시아의 청년운동이 체계적으로 전개되었다. 1910년 일제강점을 전후해 유학생들은 독립의지를 위한 계몽운동에 박차를 가했으며, 1919년 2.8독립운동을 이끌었다. 또한 3.1운동또한 33인의 민족지도자에 의한 운동이 아니라 각처의 지역사회와 연계된 학생운동세력을 통해 전개되었다. 이후 이러한 운동은 1919년 북경대학을 중심으로 전개된 5.4운동, 1926년 6.10만세운동, 1929년 광주학생독립운동으로 이어졌고 1930년대 각종 지하학생운동, 만주와 북경, 동경, 오사카, 교토 등의 다양한 항일운동그룹의 활동을 통해 전개되었다.


사진 세계 각지의 분리독립 민족운동연구

미국의 독립운동은 18세기 이후 세계사적 변화를 초래한 역사적 사변이었다, 미국독립은 유럽열강의 패권적 갈등과 영국식민주의자들의 북미지역에서의 좌절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19세기 이후 유럽의 식민지에 있던 아메리카대륙이 분리 독립되기 시작하면서 독립문제는 중요한 쟁점이 되어왔다. 그러나 미국의 독립전쟁은 몇 명의 영웅적인 인물들에 대한 묘사가 주를 이룰 뿐 그 역사적인 과정에서 식민지 청년들의 역할을 제대로 다루는 연구는 많지 않다.

제3세계 국가에서의 분리독립운동에 나타난 청년운동도 연구대상이다. 역사적으로 진행된 독립운동(인도의 독립운동, 인도네시아의 독립운동), 현재진행형인 분리독립운동(티벳 신장, 위그르 등)은 여전히 많이 알려지 있지 않다. 이처럼 제3세계의 많은 국가에서의 독립운동과정의 특성을 충분하게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 운동과정에서 청년학생운동의 기여에 대한 분석도 필요하다.


사진 제3세계 식민지 해체 전후 학생민권운동연구

20세기 초반 동아시아의 많은 지역에는 학교를 중심으로 하는 학생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문맹퇴치를 위한 운동, 근대적 지식을 가르치고 훈련하는 계몽운동, 각종 야학운동, 학교의 자율적 운영을 위한 권리운동, 학생의 기본적 학습권을 보장받기 위한 자치운동, 각종 사회적 차별에 항쟁하는 운동, 억압적 차별적 제도개선을 요구하는 계몽운동, 식민지 지배체제에 맞서는 운동에 이르는 다양한 운동이 그것이다. 이러한 운동은 소년운동, 독서운동, 문예운동, 이념운동, 다양한 지하서클 등의 형태로 발전해왔다. 또한 농민운동이나 노동운동등 기층의 운동과 결합되어 전개되거나 대규모 독립운동세력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동아시아, 아랍 등 제3세계에서의 학생운동의 전개과정에 대한 탐색은 20세기 초반 한국에서 전개된 학생운동의 면모를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3호관 306호
TEL : 062-530-0610 | FAX : 062-530-0615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 2016 전남대학교 광주학생독립운동연구소. ALL RIGHTS RESERVED.